메뉴 건너뛰기

  • sitemap
  • sitemap
  • 충북대학교
  • 공과대학
  • twitter
  • facebook
대학원 교육과정

도시공학전공 일반대학원 교육과정 안내

이수구분 과정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영문) 학점
기초공통 석·박 8880001
8880002
8880003
연구방법론
영어논문 작성 및 발표
연구설계와 통계적 방법
Research Methodology
English paper writing and presentation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al methods
3-3-0
전공공통 석·박 8801174
8801175

8801176

8801177

8801178

8801179

8801180

8801181
폐금속자원 회수 공학 특론
기후 위기 대응 스마트 반도체
융복합 특론
미세먼지 저감 스마트 청정 에너지
디바이스 특론
스마트 네트워크 기반 지역 융복합
데이터 분석방법론
지역생활 네트워크 문제해결
스마트공간 리빙랩
탄소중립 스마트 에너지 융복합
특론
온실가스 및 저감 스마트
청정에너지생산 특론
폐자원 에너지 순환 융복합 특론
Waste Metal Resource Recycling Engineering
Advanced Smart Semiconductor Convergence
Responding to Climate Risks
Advanced Smart Clean Energy Device For
Removing Fine Particulate Matters
Regional Converged Data-Driven Analysis
Methods based on Smart Networks
Smart Spatial Living Lab. for Local
Community Network Problem-Solution
Advanced Carbon Neutral Smart Energy
Convergence
Advanced Smart Clean Energy Production for
Reducing GHGS To Emissions
Advanced Waste Energy Cycle Convergence
3-3-0
전공
심화
·도시
공학
전 공
(담당
교수:
하성룡
이만형
황재훈
반영운
홍성조
송태진
권규상)
석·박 8880052

8880053
8880054

8880055
8880056

8880057
8880058
8880059
8880060

8880061
8880062

8880063
8880064
8880065
8880066
8880067
8880182

8880183

8880184

8880185

8880186

8880187

8880074

8880075
8880188
8880076
8880077
8880078

8880079

8880080

8880081

8880082
8880083

8880084
8880189
8880190

8880191

8880192
8880193
8880194
환경계획 및 정책세미나

생태환경공학
기후변화와 도시재해위험성

하천수질모델링
공공계획사례분석

어반다이나믹스
프로젝트관리
컴퓨터지원정책결정론
협상 및 의사결정 특론

계획특론
재생설계방법론

뉴어바니즘
도시경관디자인
도시형태론
공간설계 및 해석론
설계학특론
환경정의 이론 및 실제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도시특론
순환형 도시메타볼리즘 및
그린어바니즘
토지 및 주택정책특론

순환경제 및 생태산업개발특론

공간환경분석특론

도시통계이론및실습

토지이용·교통통합론
도시공간분석특론
상권분석
도시보행론
머신러닝 이론과 실습

스마트 도시계획 세미나

도시 및 부동산개발 세미나

지역쇠퇴와 지역발전

토지 및 부동산정책
도시의 인구 및 경제지리

사회조사방법론
교통신호제어
교통통계 및 모형

지능형교통운영체계

스마트 모빌리티
대중교통정책
교통정책평가
Environmental Planning and Policy
Seminar
Environmental Engineering for Ecology
Climate Change and Urban
Disaster Hazard
Surface Water-Quality Modeling
Public Planning Problemand
Cases
Urban Dynamics
Project Management
Computer-Aided Policy Making
Advanced Negotiation and
Decision-making
Advanced Planning Theories
Design methodology for Urban
regeneration
New Urbanism
Urban Visual Landscape Design
Urban Morphology Theory
Interpretation for Urban Design
Advanced Design Theory
Environmental Justice Theory
and Cases
Advanced Carbon-Neutral City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Circular Urban Metabolism and
Green Urbanism
Advanced Land and Housing
Policy
Advanced Circular Economy and
Eco-Industrial Development
Advanced Spati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Theory and Pratice of Statistical for
Urban Planner
Land use·Transport Integration
Advanced Urban Space Analysis
Trade Area Analysis
Urban Walking
Theory and Practice Machine
Learning
Smart Urban Planning
Seminar
Urban & Real Estate Development
Seminar
Regional Decline & Regional
Development
Land & Real Estate Policy
Population & Economic Geography
of City
Social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Traffic Signal Control
Statistics & Modeling in
Transportati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Operation System
Smart Mobility
Public Transport Policy
Transport Policy Evaluation
3-3-0

도시공학전공 일반대학원 수료학점 안내

구분 수료학점
공통 전공 부전공 연구과제 선수과목
석사과정 6학점 이상
(기초 또는 전공
공통과목)
9학점 이상 6학점 이내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Ⅰ
(3학점)
지정된 선수과목은 반드시 이수
이수학점은 총 졸업학점에서 제외
24학점 이상
박사과정 18학점 이상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
(3학점)
36학점 이상
통합과정 9학점 이상
(각 과에서
개설한 공통과목)
30학점 이상 12학점 이내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Ⅱ
(3학점)
57학점 이상
· 본 표의 수료학점은 2020학년도 이후 입학자를 기준으로 한다.
· 2019학년도 이전 입학자의 수료학점은 (석사과정 : 24학점, 박사과정 : 33학점, 통합과정 : 54학점)으로 한다.
· 통합과정의 전공과목은 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를 기준으로 한다. (2017학년도 이전 입학자 : 36학점 이상)
· 공통과목 의무이수를 초과한 공통과목은 해당 학과(부)의 전공과목으로 인정할 수 있다.
· 연구윤리 및 연구과제 Ⅰ,Ⅱ는 반드시 지도교수 개설한 연구과제를 이수하여야 한다.
· 취득한 전 과목 성적 평점 평균이 2.60이상이어야 한다.(선수과목의 학점은 성적계산에서 제외)
· 학기당 취득학점은 연구과제 포함하여 9학점을 초과할 수 없다.
· 선수과목 이수대상자는 지정된 과목 및 학점을 모두 이수하여야 한다.
·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박사과정에서 중복 이수한 경우 졸업학점에서 제외한다.

도시공학전공 일반대학원 박사(통합)과정 학위논문 논문제출 자격사항 안내

구분 주저자 공동저자
SSCI, AHCI, SCI(E) 300% 200%
Scopus 300% 200%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200% 150%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150% 100%
- 과정별 수료학점을 모두 이수하고 수료한 자
- 외국어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대체 가능)
- 종합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
- 입학 후 300% 이상의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한 실적을 가진 자(표 참고)
위로